서울대치과병원 치과보존과 김선영 교수, 예방과 주기적인 검진 통한 충치 관리 중요성 강조

치아는 한번 질환에 걸리면 자연 치유가 어려우며, 특히 충치는 예방이 최우선이고 치료도 초기에 이루어지는 것이 구강 건강에 좋다.

충치의 정식명칭은 ‘치아우식증’이다. 이는 입 안에 있는 세균이 당분을 분해하면서 생성되는 산에 의해 치아가 녹는 것이다. 그 양상은 각 개인의 연령, 구강관리 상태, 치열의 형태와 식습관 등 개인적인 요인에 의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서울대치과병원 치과보존과 김선영 교수와 함께 치아우식 예방법과 치료법을 알아보자.

충치는 치아 내에 퍼진 범위에 따라 4단계로 분류한다. 1단계는 치아의 제일 바깥층인 법랑질에만 국한된 경우로, 증상이나 통증이 거의 없다. 2단계는 충치가 상아질까지 퍼진 경우로, 시리고 약간의 통증이 발생한다. 3단계는 충치가 치수(신경)까지 도달해 상당한 통증이 발생한다. 4단계는 치아의 뿌리만 남은 경우로, 음식 저작 시 상당한 통증이 발생한다.

충치를 예방하려면 칫솔질이 가장 중요하다. 치아 표면에는 지속적으로 세균막이 형성되는데, 이를 매일 제거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단순히 횟수보다 정확하고 꼼꼼한 칫솔질을 해야 한다. 특히 치아에 달라붙거나 당분이 많은 음식물 섭취를 자제하고 섭취할 경우에는 바로 칫솔질을 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치아 건강에 좋은 음식은 우유, 멸치, 치즈, 과일, 채소, 등푸른생선이다.

치과 내원 시에는 불소를 이용해 충치를 예방한다. 불소는 충치를 예방하는 물질로, 치아를 단단하게 해주고 치아표면에 불소막을 형성해 치아우식을 유발하는 세균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3~6개월 간격으로 내원해 불소도포를 받고, 일상에서는 불소 함유 치약을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

유치나 영구치 어금니 표면은 가느다란 홈과 다수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러한 공간으로 음식물 잔사들이 들어가면 세균번식에 취약해진다. 이런 경우 플라스틱 계통의 복합레진(실란트)으로 홈을 미리 막아 충치를 예방할 수 있다.

△ 김선영 교수

김 교수는 “위의 예방법으로도 충치를 완전히 예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3개월마다 한 번씩 치과에 내원해 주기적인 불소도포와 실란트 상태 확인, 식이 상담, 구강관리 교육을 받는 것이 좋다”라고 설명했다.

충치 보존치료는 ▲아말감 치료 ▲글라스아이오노머 치료 ▲레진 치료 ▲인레이 치료 ▲근관치료 등으로 나뉜다.

먼저 아말감은 수은을 이용한 합금의 일종으로, 충치 치료에 있어 가장 널리 사용돼 그 효용성이 입증됐다. 유치와 영구치, 작은 충치에서부터 광범위한 충치까지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최근 다른 재료들과 비교했을 때 아말감 자체의 색깔로 인해 심미성이 떨어지고, 치아와 직접적인 접착력이 없어 광범위한 충치는 탈락이나 치아 파절을 일으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글라스아이오노머는 치아와 화학적으로 결합하는 재료로 최초 개발됐다. 불소를 방출하는 장점이 있어, 치료받은 부위 주변으로 충치 예방 효과가 기대돼 충치가 많이 생기는 사람들에게 사용된다. 그러나 레진에 비해 재료 자체 강도가 부족하며 심미적으로 수복이 까다로워 사용 부위가 제한된다.

레진은 전치나 소구치 등 눈에 보이는 치아 또는 간단한 충치에 사용하는 재료로, 색도 치아와 유사하고 치질에 접착하는 특징이 있다. 기존에 레진은 시간이 지나면 변색이 일어나거나 잘 깨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최근에는 접착제와 재료의 발달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인레이는 충치가 너무 광범위하거나 옆 치아와 충치가 맞닿은 경우, 치아의 충치를 제거하고 본을 떠서 제작한 수복물을 접착하는 방법이다. 맞춤형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정교하지만, 치료를 위해서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내원 횟수가 증가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인레이에 ‘금’을 사용한다. 금은 생체적합성이 뛰어나고 기계적인 성질이 좋아 널리 사용됐으나, 색이 치아와 많이 달라 심미성이 요구되는 부위에는 사용이 제한적이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고자 최근에는 세라믹 또는 레진인레이를 이용하기도 한다. 이는 인레이와 치아의 접착이 가능해 치아를 보강하는 부가적인 효과도 있다. 다만 기계적 성질이 금보다 약해 이를 꽉 물거나 이갈이를 하는 환자에게는 부적합하다.

마지막으로 근관치료는 충치가 치수까지 퍼지는 경우 시행한다. 치아에 치수로 도달하기 위한 구멍을 뚫고 작은 기구를 이용해 감염된 치수를 제거하며, 이 구멍을 생체에 적합한 단단한 재료로 충전한다. 그런 다음 치아를 깎아서 씌우는 크라운 치료를 거친다. 만약 적절한 시기에 근관치료를 받지 않으면 염증이 치아뿌리 쪽으로 계속 진행돼 통증이 발생하고 농양이 생겨 골질환이 생길 수도 있다.

김 교수는 “치아는 신체 다른 부위와 달리 한번 질환에 걸리면 자연 치유가 어렵고 재생되지 않는다”면서 “충치는 예방이 최우선이므로 칫솔질 같은 일상 구강 관리에 힘쓰고 주기적으로 치과에 내원해 검진받는 것이 중요하며, 치료도 초기에 이루어질 수 있게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덴티스트 - DENTI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