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치과병원 소아치과 송지수 교수 “가족력 있다면 만 5~6세 경 치과 방문해 확인 필요”

어린이 치아 건강과 관련하여 치아우식증이나 부정교합은 눈으로 확인이 쉽기 때문에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지 않으나, 방사선 촬영을 통해 이상유무를 확인해야 하는 질환은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 송지수 교수

방사선 영상이 없는 경우 알아채기 힘든 질환 중 하나가 바로 ‘과잉치’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평생 치아 52개(유치 20개, 영구치 32개)를 갖고 살아가는데, 그보다 치아가 많은 사람을 과잉치라고 한다. 서울대치과병원 소아치과 송지수 교수와 함께 과잉치에 대해 알아보자.

송 교수는 “과잉치가 발생하는 정확한 원인은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치아가 발육하는 과정에서 치아가 만들어지는 상피조직의 과잉활성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다만 “부모 형제가 과잉치가 있다면 다른 형제나 자녀도 과잉치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유치보다 영구치에서 발생하는 빈도가 높고 대개 위턱 대문니 근처에서 원추 형태로 나타난다”라고 설명했다.

△ 영구치에서의 과잉치. 위턱 대문니 주변에 2개의 과잉치가 위치해있다.

과잉치는 치아 배열에 영향을 주어 심미적인 문제도 발생하지만, 그 주변으로 물혹을 만들거나 영구치가 정상적으로 나오는 과정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발견하는 즉시 발치해야 한다. 만약 사진과 같이 과잉치가 잇몸을 뚫고 나왔다면 주변 잇몸을 부분 마취해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 과잉치로 인해 영구치 대문니가 정상적으로 나오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빠져야 할 유치가 남아 있다.

송 교수는 “과잉치 대부분은 잇몸을 뚫고 나오는 방향이 아니라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잇몸뼈 속에 묻혀 있는 경우가 많다”면서 “이런 경우에는 수술로 제거가 필요한데, 어린이가 두려움을 느끼지 않고 안전하게 발치하고자 전신마취를 시행하기도 한다”라고 덧붙였다.

또 위와 같은 이상 소견(물혹, 영구치 맹출 방해)을 보이지 않으며 과잉치가 잇몸뼈 속으로 깊어지지 않고 위치 변화가 없는 경우, 그리고 수술로 인해 정상 영구치 손상이 우려되는 경우는 성장할 때까지 기다려볼 수도 있다.

따라서 과잉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특이증상이 없더라도 영구치가 나올 준비를 시작하는 5~6세 경에 치과를 방문해 방사선 영상을 촬영해보는 것이 좋다. 송 교수는 “더욱이 과잉치로 인해 치아 배열이 좋지 않거나, 발치 시기가 늦어 정상 영구치가 스스로 나오지 못하는 경우에는 추가로 교정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담해볼 것”을 조언했다.

저작권자 © 덴티스트 - DENTI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