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치과병원 치과보존과 김선영 교수 연구팀 “지혈제를 이용해 내부 출혈량을 조절하면 치수의 재생유도가 더 용이” 『Scientific Reports』에 연구 결과 게재

△ 김선영 교수

근관치료는 안정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치료 방법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근관치료를 한 치아는 치수신경이 제거됐기 때문에 차갑거나 뜨거운 것에 반응하지 않고, 치아우식이 재발하더라도 통증이 발생하지 않아 다시 치료해야 하는 시기를 놓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손상된 치수를 재생하는 ‘치수재생치료’가 일부 제한적인 상황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재생치료를 상용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치수를 재생하려면 치아 내부의 치수 줄기세포를 활성화해야 하는데, 이때 출혈량 조절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서울대치과병원 치과보존과 전문의인 김선영 교수 연구팀은 “손상된 치수 제거 후, 의약품으로 상용되는 지혈제를 이용하여 내부 출혈량을 조절하면 치수의 재생유도가 더 용이해진다는 결과를 동물모델 실험에서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Scientific Reports』 2020년 7월호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김 교수는 “지금까지 근관치료는 손상된 치수 제거 후, 그 공간을 인공재료로 충전해 치아의 신경 감각이 없어지는 한계가 있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손상된 치수조직의 재생을 유도해 본래의 감각 기능을 모두 유지하면서 치료할 수 있다면 재생치의학 관점에서 치과 치료의 새 패러다임을 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덴티스트 - DENTI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